2025년, 중위소득 기준이 대폭 확대되면서 의료수급 신청하실 수 있는 분들도 늘어났습니다.
1분만 투자한다면 의료급여 신청방법, 지원자격, 지급액 등을 전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모르면 나만 손해인 의료급여에 대해서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바쁘신 분들은 아래에서 바로 의료급여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급여 지원자격 및 선정기준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중의 의료급여는 중위소득 40% 이하인 가구에 신청 가능합니다. 가구별 신청 가능한 소득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1인 가구 : 95만 6,805원 이하
- 2인 가구 : 157만 3,063원 이하
- 3인 가구 : 201만 141원 이하
- 4인 가구 : 243만 9,109원 이하
- 5인 가구 : 284만 3,277원 이하
- 6인 가구 : 322만 5,922원 이하
🔽아래를 통해 지원자격이 되는지 계산해보실 수 있습니다.
의료급여 신청하기
기초생활수급자 신청은 온라인 신청과 오프라인 신청으로 나뉩니다.
하지만 의료급여는 온라인 신청 서비스가 없기 때문에 오프라인 신청만 가능하십니다.
온라인 신청은 주거급여와 교육급여, 그리고 차상위계층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직접 방문하는 오프라인 신청은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주민센터 혹은 읍/면/동사무소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방문 한 뒤, '기초생활수급자 의료급여 신청하러 왔다'고 하시면 직원이 상담을 해줄 것입니다.
대신, 방문 전에 필요서류에 대해서 먼저 문의해보신 후 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의료급여 수급 문의를 위한 전화는 아래에서 확인 가능하십니다.
의료급여 지원금액
기본적으로 의료급여는 진찰, 약제 지급, 수술, 입원, 간호 등의 의료목적에 의해서 급여가 지급되는 구조입니다.
① 의료급여 본인부담금 개편
특정 분들이 1년 365일동안 매일 외래진료를 받는 등 해서 의료급여를 남용한 사례들이 있었고, 진료를 받고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는 의식이 흐려지게 되어서 2025년부터는 '정률제'를 도입한다고 합니다.
2024년까지는 1종 의료 기초생활수급권자분들은 입원 전액 지원, 외래진료는 500원~2,000원까지 본인이 부담했었습니다. 이제부터는 본인부담금을 늘리게 되었습니다.
표로 비교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2024 의료급여
✔ 2025 의료급여
대신에 의료급여 수급자의 부담감을 덜어주기 위해서 건강생활유지비를 매월 6,000원에서 12,000원으로 2배 인상했습니다.
지금까지 2025년 의료급여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