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난방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겨울철 가장 큰 부담 중 하나가 바로 난방비입니다.
2024년 8월부터 도시가스 요금이 6.8% 인상되었습니다. 저도 1월에 가스비가 5만 원이 찍혀 있어서 굉장히 놀랐습니다. (얼마 안썼는데 말이죠)
다행히 정부에서는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게 해주고 있습니다.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를 운영하며 최대 9만원까지 절약 할 수 있습니다.
기간은 2024.12.01~2025.03.31 4개월 간 진행되니 얼른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일단 신청하면 이득입니다. K-GAS에서 회원가입만 하면 신청 됩니다.
🔽바쁘신 분들은 아래에서 바로 도시가스 캐시백을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이란?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은 도시가스 사용량을 절감한 가정에 현금 또는 요금 차감 혜택을 제공하는 정부 지원 제도입니다.
동절기 12~3월 동안 전년도 동일 동절기의 사용량보다 3%* 이상 절약하면 절감량을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30%까지 절약 한도입니다. 쉽게 말해, 작년보다 가스 사용량을 줄이면, 그 절감률에 따라 최대 9만 원까지 보상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참여대상
주택난방용(개별난방, 중앙난방) 사용자는 모두 신청가능 합니다.
✔ 이런 분들은 제외입니다!
- 전출, 전입으로 도시가스사 고객식별번호가 변경되어 절감기간 동안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 할 경우
- 주택난방용 이외의 산업용, 업무난방용 사용자일 경우
- 신청자(회원가입자)와 계약자 명의가 다른데, 계약자 정보제공동의서를 제출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 도시가스사 혹은 고객식별번호를 잘못 적어서 사용량 조회가 안될 경우
- 중앙난방을 쓰다가 개별난방으로 전환해서 해당 기간동안 각 세대별 사용량 자료가 없는 경우
지급금액 계산하기
앞서 말씀드렸던 전년 동기간(12~3월)보다 3%* 이상 절감했을 경우부터 도시가스 캐시백을 해주고, 절감율이 높아질수록 지급되는 현금이 높아집니다.
하지만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죠?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캐쉬백 산정 예시
위 사진과 같이 23년도 12월부터 3월까지 매월 100㎥을 사용했다면, 총 400㎥을 사용한 것이고, 24년도에 총 340㎥을 사용했다면 [절감량은 400 - 340 = 60㎥] 입니다.
60㎥을 덜 썼기 때문에 [60/400 하면 15%의 절감율]이 됩니다.
10~20% 사이이니 1㎥ 당 100원이 되고, [캐시백 금액은 60㎥ x 100원 = 6,000원]이 됩니다.
만약 20%까지 줄인 가구는 캐시백과 요금절감으로 9만원까지 절약할 수 있게 됩니다.
**20% 이상 절약 시 부터 1㎥ 당 200원적용
도시가시 사용량 조회하기
그렇다면 우리가 얼마나 도시가스를 사용했는지 파악해야 하겠죠?
고지서를 통해서 확인할 수도 있지만 그러면 작년 도시가스 요금들에 대한 지로 영수증도 찾아야 하는데, 귀찮은 일입니다.
[가스앱]이라는 어플을 통해서 확인하면 됩니다. 간단하게 사용량과 청구금액이 다 나옵니다.
🔽가스앱 다운로드 및 사용방법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방법
2024.12.01 ~ 2025.03.31 안에 K-가스캐시백 사이트에서 회원가입만 하면 바로 캐시백이 신청됩니다.